'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29 Page)

분류 전체보기 1353

<최진석의 장자철학> 7-5강 우리는 나를 가두는 우리다.

" 인문적 통찰" 장자 이야기에서 많이 인용되는 이야기 장자 부인이 죽어 상을 치르고 있어 장자의 친구 혜시가 문상을 갔습니다. 그런데 장자는 정작 질그릇을 두들기며 노래를 부르고 있었습니다. 혜시가 놀라 "어떻게 그렇게 노래를 부를 수 있느냐?"물었습니다. 그러자 장자는 "나 역시 슬프다. 그래서 내가 그 근원. 근본을 잘 살펴보았더니 이렇더라. 원래 죽고 사는 일은 없다. 삶이 없고, 형체도 없고, 더 거슬러 올가가 보니 형체를 이루는 기도 없더라. "그런데 거기서 기가 생기고, 뭉치면서, 형체가 생기고, 생과 사가 생기고, 삶이 생겼다. 죽고 사는 것이 따로 있는 것이 없다. 결국 부인이 죽은 것은 우주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간 축하할 일이어서 이렇게 노래를 부르고 있다." 라고 노래 부르는 이유를 ..

<용어> 복도의 너비

건축법 등을 비롯한 건설 관련 법에서는 복도의 너비에 규정하고 있습니다. 복도의 너비는 학교나 공연장처럼 용도별 단위 면적당 사용 인수 많은 건축물의 경우 한꺼번에 많은 인원이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용도에 비해 더 넓은 너비를 요구합니다. 대신 연면적이 작거나, 단위 면적당 사용인수가 작은 건축물의 경우에는 더 작습니다. 평상시 많은 인원이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를 위함도 있지만, 화재 등 위급 상황시에 건물 사용자이 안전하게 대피하고 피난층까지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이용할 경우 회전반경이나 편리하게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련법에서 용도별 또는 면적별에 따라 해당 항목의 적용을 의무 또는 권장하고 있습니다. 관련 법령은 어떤 것이 있고, 그 ..

<용도> 기숙사

이번 포스팅은 건축물의 용도 중 기숙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축법 시행령 별표1 건축물의 용도에서 기숙사는 공동주택에 포함되며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보통 대학교를 중심으로 집에서 등하교 등이 어려운 학생들이 거주하는 공간이 일반적이며, 기숙사라는 명칭보다는 '생활관'으로 명칭을 부르고 있습니다. 또한 학교 이외에 공장 등에서 출퇴근이 힘든 종업원 등을 위한 복지차원의 건축물도 포함됩니다. 기숙사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하여 쓰는 것으로서 1개 동의 공동취사시설 이용 세대 수가 전체의 50퍼센트 이상인 것(교육기본법 제27조 제2항에 따른 학생복지주택을 포함) "기숙사 역사" 기숙사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 등에서 대규모 공사를 위해 동원된 노동자들의 집단 거주지에서 그 ..

<최진석의 장자철학> 7-4강 자유, 독립, 존엄을 지키는 삶

지난시간 강연내용 복습해 보겠습니다. 장자는 쾌만 쫓은 삶을 살겠다고 했습니다. 제사상에 올려질 소나, 비단 헝겊에 모셔진 신령한 거북 보다는 더러운 도랑에서 스스로 즐거워하겠다고 했습니다. 이는 그냥 도랑이 좋다는 유유자적하는 삶을 단편적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도랑이든 아니든 자기의 존엄을 지킬 수 있는 곳을 택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대답이 아닌 질문에 가까운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오늘은 더러운 도랑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을 말씀하십니다. 장자 '열어구' 송나라 '조상'이 진나라 사신으로 가서 수레를 수백 대 받아오고, 장자를 찾아감. 장자는 냄새나는 골목에서 신을 만들어 살아가고 있었고, 허름한 옷에 돈도 꾸러 다녔다고 함. 조상이 장자에게 " 나는 진나라에서 수레 ..

<용어> 근린생활시설, 해당 용도로 쓰이는 바닥면적

건축법 시행령 별표 1에서는 건축물의 용도를 29가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 중 주택을 제외한 우리의 일상과 가장 밀접한 용도가 바로 '근린생활시설'입니다. 근린생활시설은 그 종류도 다양해서 제1종 근린생활시설은 9가지, 제2종 근린생활시설은 18가지 소분류로 구성됩니다. '근린생활'의 의미 근린생활시설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근린의 뜻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근린을 한자어를 의역해 보면 근(近. 가까울 근), 린(隣, 이웃 린)을 쓰고 있습니다. 풀이를 하자면 '가까운 이웃'으로 풀이할 수 있는데, 우리가 거주하는 주거지역과 이웃해 있으면서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왕래가 잦은 시설인 것입니다. 건축법 시행령 별표1의 시설을 보더라도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시설입니다. 우리 생활에 큰 도움..

<답사>서정주 시인의 집_사당. 남현동. 관악산 가볼만한 곳

'국화 옆에서'라는 시 한번쯤은 들어보셨죠? 바로 이 국보급 시를 지으신 분이 우리나라의 대표적 시인 '서정주'입니다. 이분이 돌아가시기 전까지 머무셨던 생가가 바로 남현동 관악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예술인 마을'로 불리는데, 예전에 많은 예술인들이 이 곳으로 이주해 와 살았다고 합니다. 미당 서정주시인의 집은 사당역에서 관악산 등산로를 오르기 전에 잠시 들릴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예전에는 단독주택단지였지만 지금은 빌라들이 많이 들어있는 곳입니다. 남현동 사당초등학교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관악산 등산객들이 많이 이용하는 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등산로 입구 전 사당초등학교 방향에 있습니다. 혹시 이 방향의 등산로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잠시 들러보시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은행..

배움의 행복 2019.11.18

<최진석의 장자철학> 7-3강 더러운 도랑 가에서 스스로 즐거워하며 살겠다

지난 강의 복습해 보겠습니다. 장자 철학은 '무소불규'로 학문을 함에 있어 들여다보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입니다. 그만큼 철학의 폭이 넓다는 것입니다. 장자은 그 시대 다른 철학자와 달리 통치자에게 등용되지 않았습니다. 제후들이 정권을 잡고 재야인을 불러들이는 시대에 공자 등은 그들 밑에서 통치술을 전달했다. 하지만 장자의 철학은 정치철학을 벗어난 당대의 여느 철학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미학적 수준까지 이르렀다고 평가하는 것입니다. "왜 교수님이 장자를 선택하셨는지 이해가 되기 시작합니다." 오늘은 장자가 어떤 삶을 추구했는지 그 일화와 내용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쾌만 쫓는 삶을 살겠다." 장자의 철학을 잘 보여준 일화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첫 번째 일화 초나라 위왕은 장자가 현명하다는 평가를..

공동주택 공용면적, 분양면적, 계약면적

아파트 전용면적을 지난 시간에 공부해 보았습니다. 혹시 전용면적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notsunmoon.tistory.com/74 공동주택 전용면적 산정 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해 모델하우스에 들르게 되면, 아파트 평면과 면적에 대한 소개를 많이 받게 됩니다. 그중에서 전용면적, 발코니 등 서비스 복잡한 용어들이 많아 혼란스러운데 이 부분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 notsunmoon.tistory.com 이번에는 '공동주택 공용면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용면적 설명 때와 같이 아래의 의 내용에서 출발해 보겠습니다. 전용면적에 관한 내용 이외의 내용이 모두 공용면적에 대한 설명입니다. - 외벽의 내부선을 기준으로 산정. - 2세대 이상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동주택 전용면적 산정

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해 모델하우스에 들르게 되면, 아파트 평면과 면적에 대한 소개를 많이 받게 됩니다. 그중에서 전용면적, 발코니 등 서비스 복잡한 용어들이 많아 혼란스러운데 이 부분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관련 법령조항도 명시해 두었으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우선 일반 건축물은 어떻게 면적을 산정할까요? 건축법 '허가대상 건축물' 면적 산정 먼적 건축법 허가대상인 일반건축물은 아래와 같이 중심을 기준으로 면적 산정을 합니다. 벽체 두께의 중간에 중심선(흰 선 표기)을 만들고 그 선을 기준으로 해당 면적을 산정합니다.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면적 등의 산정방법) 제1항 3호 바닥면적: 건축물의 각 층 또는 그 일부로서 벽, 기둥,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구획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

<최진석의 장자철학> 7-2강, 미학적 수준에 이른 장자철학

지난 강연 복습해 보겠습니다. 장자는 맹자와 같은 시대 사람으로, 장자 철학의 대표적인 책은 3종류가 있습니다. 이중 곽상의 '장자주'는 33개의 채터로 장자가 쓴 것과 후학이나 제자가 쓴 챕터로 나뉩니다. 문명세계는 모두 질문에 의해 발전되었고, 대답에서 나온 것을 없습니다. 질문을 자기의 고유함이 드러나는 것이고, 자신의 인격 문제입니다. 이론의 생성, 문명의 출현, 지식의 생성은 모두 인격적으로 준비된 사람에게서 나온 것들입니다. 장자의 철학도 이런 부류인데 그래서 인격적인 사람 바로 장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오늘은 장자 철학을 미학적 경지에 올랐다는 내용입니다. 왜 그런가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사마천의 사기 '노자한비열전'에서 장자는 어떻게 언급되어 있는가? 無所不闚(무소불규) - 길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