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글 목록 (53 Page)

건축 관련 정보 900

오피스텔 건축기준 중 ‘사무구획별’의 의미는?

오피스텔은 본래 건축물의 용도가 업무시설에 속합니다. 따라서 주택에서 사용하는 세대라는 표현이 적절치는 않고 관련 기준(오피스텔의 건축기준)에서도 ‘사무구획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피스텔 건축기준 제2조(오피스텔의 건축기준) 오피스텔은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한 구조이어야 한다. 1. 각 사무구획별 노대(발코니)를 설치하지 아니할 것 2. 다른 용도와 복합으로 건축하는 경우(지상층 연면적 3천제곱미터 이하인 건축물은 제외한다)에는 오피스텔의 전용출입구를 별도로 설치할 것. 다만,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을 복합으로 건축하는 경우에는 건축주가 주거기능 등을 고려하여 전용출입구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사무구획별 전용면적이 120제곱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온돌ㆍ온수온돌 또는 전열기 등을 사..

생활숙박시설의 오피스텔 용도변경 득실은?

국토교통부는 21년 10월 13일 생활숙박시설의 오피스텔로 용도 변경 시 건축기준을 한시적으로 한정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오피스텔 건축 기준 중 발코니 설치 금지, 전용출입구 설치 등 아래의 내용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용도변경이 가능하게 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생활숙박시설의 법정 주차대수는 오피스텔에 비해 상당히 적습니다. 그런데 용도변경 시 오피스텔의 기준에 맞추어야 하는 내용은 이번 고시에서 빠져있어 현실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시한은 2023년 10월 14일 까지 입니다. 이로 인해 현재 생활숙박시설이 발코니가 있고 바닥난방이 있는 기준 면적 이상의 생활형 숙박시설은 오피스텔로 전환이 가능해 다른 오피스텔과 차별화가 됩니다. 당연히 시세 상승과 임차인 모집에도 유리하다고 보는 것입니..

생활숙박시설 건축기준

생활숙박시설은 장기투숙 수요에 대비하여 취사시설이 가능한 숙박시설로서 2012년 부터 도입되었습니다. 하지만 숙박시설을 주거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여 대책을 마련하기에 이릅니다. 이 중 생활숙박시설 용도에 적합하게 건축될 수 있도록 별도 건축기준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생활숙박시설의 건축심의와 허가 단계에서 숙박시설의 적합여부 및 주거. 교육환경 등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허가를 제한한다고 합니다. 생활숙박시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생활숙박시설 (tistory.com) 생활숙박시설 10월 1일 국토교통부는 3,000㎡ 미만의 소규모 생활숙박시설도 30실이상 분양을 할 때에는 을 적용한다는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작은 규모의 생활숙박시설도 분양관련 no..

공동주택 단위세대 내 PD 벽체 내화구조 여부

공동주택의 단위세대에는 욕실 및 주방에서 사용하는 오수 관련 배관과 환기 등을 위한 덕트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물론 이 통로는 모든 세대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습니다. 이런 PD는 조적 0.5B로 구획되어 있는데 이 두께는 내화구조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윗집 등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확산을 막기 위한 층간 방화에서 문제가 없을까요? 이 부분에 대한 해당 관련 법령의 근거를 들어 알아보겠습니다. 하수관 등은 자체가 해당 실과 연결되어 있어 방화구획을 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이들 배관은 PD 공간을 통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방화구획에서 제외될 수 밖에 없습니다. 대신 에서는 그 배관이 슬래브 등을 관통하면서 생기는 틈을 내화채움성능을 인정한 구조로 메우도록 하고 있습니다. 결국 배..

공동주택 필로티 캐노피 바닥면적 산입 여부

공동주택의 1층 필로티 출입구에는 상부 낙하물 방지 및 출입구 위치 표시를 위해 환경디자인 공작물을 많이 설치합니다. 물론 필로티는 건축법의 관련 항목에 의해 바닥면적에 산입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런 공작물 설치로 인해 바닥면적에 산입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은 이 구조물이 필로티와 유사한 구조로서 공동주택에 해당하기 때문에 별 생각이 바닥면적에서 제외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기 조건에 보면 '위층 바닥 아래면까지 공간으로 된 것만 해당한다.' 는 조건이 있는데 캐노피는 이 조건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B' 영역은 조건 중 위층 바닥 아래면까지 공간이 있기 때문에 필로티로 인정이 되지만 'A'영역은 공간이 없기 때문에 필로티로 인정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설치된 캐노피가 만약 1M..

내화구조_ 지붕틀과 지붕 모두 적용해야 할까?

「건축법」 제50조제1항에서는 문화 및 집회시설, 의료시설, 공동주택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은 주요구조부와 지붕을 내화(耐火)구조로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주요구조부와 내화구조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건축법의 이해_주요구조부 (tistory.com) 건축법의 이해_주요구조부 건축법에서 주요구조부는 지붕틀, 주계단, 내력벽, 기둥, 바닥, 보를 말합니다. 주요구조부는 건축물이 제대로 설 수 있는 주요 요소로서 건축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화재 시 건물이 무 notsunmoon.tistory.com 내화구조의 이해_ 내화구조가 필요한 이유 (tistory.com) 내화구조의 이해_ 내화구조가 필요한 이유 내화구조가 필요한 이유 9.11 사건 때 쌍둥이 빌딩(세계무역센..

2m 이상 접도의 의무_ 광장, 공원, 유원지는 무조건 적용 예외?

건축물의 대지는 도로와 4m(6m)이상의 도로에 연결되어야 하며 이 도로와 대지는 길이가 2m(4m)이상 접해야 합니다. 여기서 도로는 보행자와 자동차가 모두 통행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보행자 전용도로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대지와 건축의 관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도로'의 이해_건축이 가능한 대지의 조건(도로) (tistory.com) '도로'의 이해_건축이 가능한 대지의 조건(도로) 건축법에 따라 건축행위를 하고자 하는 조건 중 가장 1순위는 "도로가 그 대지와 연결되어 있느냐 "인데 대지까지 연결되는 도로의 너비와 그 도로가 대지와 연접해야 하는 너비 이 두 가지를 꼭 notsunmoon.tistory.com 접도의 의무가 필요한 이유는 건축물의..

'내부마감재료'란?_ 벽지가 내부마감재료에 포함?

해당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의 내부마감재료는 준불연 또는 불연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건축물 내부에 처음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로 인한 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건축물의 실내 마감재료_ 실내재료 아무거나 써도 되나요? (tistory.com) 건축물의 실내 마감재료_ 실내재료 아무거나 써도 되나요? 건축법(제52조)에서는 아래의 건축물의 용도에 대하여 '실내건축 재료' 마감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내부마감재료"란 건축물 내부의 천장ㆍ반자ㆍ벽(경계벽 포함)ㆍ기둥 등에 부착되는 notsunmoon.tistory.com 이번 포스팅은 위 내용에서 '내부마감재료'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내부마감..

'장례식장' 건축물의 용도_ 의료시설 vs 장례시설

장례식장은 보통 전문장례식장과 병원 내의 장례식장 두 종류로 나뉩니다. 그런데 장례식장은 그 시설이 어디에 속해있느냐에 따라 건축물의 용도가 다릅니다. 전문 장례식장 시설관련 법령은 「장사 등에 관한 법률」로서 장례식장은 묘지, 화장시설, 봉안시설, 자연장지와 함께 장사시설에 속합니다. 종류는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 구청장이 설치 운영하는 공설장례식장과 그 이외의 자가 설치 운영하는 시설로 구분됩니다. 전문 장례식장의 건축물의 용도는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에 따라 28호 장례식장에 속합니다. 28) 장례시설 가. 장례식장[의료시설의 부수시설(「의료법」 제36조제1호에 따른 의료기관의 종류에 따른 시설을 말한다)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나. 동물 전용의 장례식장 병원 내의 장례식장 시설관련 법령은 ..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심의 변경 절차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서는 를 의무적으로 하여야 합니다. 이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심의 (tistory.com)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심의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 설계는 건축물의 특성에 맞게 설계를 하는 것으로 대상 건축물에 적합한 소방 안전을 구현하고 불필요한 소방설비는 배제하되, 필요에 따라 현 상황에 맞는 소방시설 notsunmoon.tistory.com 소방성능위주설계를 마친 뒤에 건축설계 등의 변경이 이루어지면 기존 성능위주설계 내용도 변경이 될 것입니다. 이 때 변경 신고를 해야하는 범위는 어떨게 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능위주설계의 변경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성능위주설계의 변경 신고 아래의 설계변경 내용인 경우에는 성능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