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며 성장하는 인간

전체 글 1368

용어로 찾는 건축법_(외벽)마감재료

#외벽마감재료_불연 또는 준불연재료 설치 대상 대상 1. 상업지역(근린상업지역은 제외)의 건축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가. 다음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2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동시설 위락시설 나. 공장( 화재 위험이 적은 공장 제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부터 6미터 이내에 위치한 건축물 2.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및 수련시설 3. 3층 이상 또는 높이 9미터 이상인 건축물 4.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자가난방과 자가발전 등의 용도로 쓰는 시설 포함), 자동차 관련 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설치기준 1. 불연재료 또는 준불..

용어로 찾는 건축법_(내부)마감재료

#내부마감재료_정의 1. 건축물 내부의 천장ㆍ반자ㆍ벽(경계벽 포함)ㆍ기둥 등에 부착되는 마감재료를 말한다. 2. 실내장식물을 제외 * 실내장식물(「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3조) 건축물 내부의 천장이나 벽에 붙이는(설치하는) 것으로서 다음 각 호의 것 다만, 가구류(옷장, 찬장, 식탁, 식탁용 의자, 사무용 책상, 사무용 의자 및 계산대,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와 너비 10센티미터 이하인 반자돌림대 등과 「건축법」 제52조에 따른 내부마감재료는 제외 1. 종이류(두께 2밀리미터 이상인 것을 말한다)ㆍ합성수지류 또는 섬유류를 주원료로 한 물품 2. 합판이나 목재 3.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간이 칸막이(접이식 등 이동 가능한 벽체나 천장 또는 반자가 실내에 접하..

용어로 찾는 건축법_방화지구안 건축물

#방화지구_건축물_구조대상 방화지구 안의 건축물 설치기준 건축물의 주요구조부와 지붕ㆍ외벽을 내화구조 설치 예외 1. 연면적 30제곱미터 미만인 단층 부속건축물로서 외벽 및 처마면이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것 2. 도매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주요구조부가 불연재료로 된 것 #방화지구_공작물_구조 대상 방화지구 안의 공작물로서 간판, 광고탑,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작물 중 건축물의 지붕 위에 설치하는 공작물이나 높이 3미터 이상의 공작물 구조 주요부를 불연(不燃)재료 설치 #방화지구 안_지붕_방화문_외벽등 대상 방화지구 안의 지붕ㆍ방화문 및 인접 대지 경계선에 접하는 외벽 설치기준 1. 지붕: 내화구조가 아닌 것은 불연재료로 설치 2. 인접대지경계선에 접하는 외벽에 설치하는 창문등으로..

용어로 찾는 건축법_목조건축물 외벽

#목조건축물_외벽 등 대상 연면적이 1천제곱미터 이상인 목조의 건축물 내용 1. 외벽 및 처마밑의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방화구조 2. 지붕은 불연재료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인접대지경계선ㆍ도로중심선 또는 동일한 대지안에 있는 2동 이상의 건축물(연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 이하인 건축물은 이를 하나의 건축물로 본다) 상호의 외벽간의 중심선으로부터 1층에 있어서는 3미터 이내, 2층 이상에 있어서는 5미터 이내의 거리에 있는 건축물의 각 부분 (공원ㆍ광장ㆍ하천의 공지나 수면 또는 내화구조의 벽 기타 이와 유사한 것에 접하는 부분을 제외)

용어로 찾는 건축법_방화벽

#방화벽_대상_구조 설치 대상 1. 연면적 1천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은 방화벽으로 구획 2. 각 구획된 바닥면적의 합계는 1천 제곱미터 미만 3. 예외 1)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거나 불연재료인 건축물 2) 건축영 제56조제1항제5호 단서에 따른 아래의 건축물 단독주택(다중주택 및 다가구주택은 제외한다),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발전시설(발전소의 부속용도로 쓰는 시설은 제외한다), 교도소·소년원 또는 묘지 관련 시설(화장시설 및 동물화장시설은 제외) 3) 내부설비의 구조상 방화벽으로 구획할 수 없는 창고시설의 경우 방화벽 구조 1. 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일 2. 방화벽의 양쪽 끝과 윗쪽 끝을 건축물의 외벽면 및 지붕면으로부터 0.5미터 이상 튀어 나오게 할 것 3.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

용어로 찾는 건축법_침수방지시설

#침수방지시설 설치 대상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중 침수위험지구에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이 건축하는 건축물 설치 기준 1. 건축물의 1층 전체를 필로티(경비실, 계단실, 승강기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 포함) 구조 2. 침수 방지시설 설치 1) 차수판(遮水板) 2) 역류방지 밸브 참고 링크 차수설비 (tistory.com) 차수설비 2011년 서울 강남 일대가 물바다로 바뀐 적이 있었습니다. 모든 도로 뿐만 아니라 건물에도 침수피해를 겪어야 했습니다. 그런데 그때 정말 재미있는 사진이 올라왔습니다. 도로, 건물, 차량 모두 notsunmoon.tistory.com

용어로 찾는 건축법_층간바닥

#층간바닥 설치 목적 가구ㆍ세대 등 간 소음 방지 적용 대상 다음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층간바닥(화장실 바닥 제외) 1. 단독주택 중 다가구주택 2. 공동주택(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 대상 제외) 3. 업무시설 중 오피스텔 4.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다중생활시설 5. 숙박시설 중 다중생활시설 설치 기준 가구ㆍ세대 등 간 소음방지를 위한 바닥 1. 경량충격음(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과 중량충격음(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 2. 세부 기준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기준)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기준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기준 | 국가법령정보센터 | 현행행정규칙 > 규칙명 ..

용어로 찾는 건축법_경계벽

#경계벽 설치 목적 가구ㆍ세대 등 간 소음 방지 대상 1. 단독주택 중 다가구주택의 각 가구 간 또는 공동주택(기숙사 제외)의 각 세대 간 경계벽(발코니 제외) 2. 공동주택 중 기숙사의 침실, 의료시설의 병실,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의 교실 또는 숙박시설의 객실 간 경계벽 3.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산후조리원의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계벽 가. 임산부실 간 경계벽 나. 신생아실 간 경계벽 다. 임산부실과 신생아실 간 경계벽 4.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다중생활시설의 호실 간 경계벽 5. 노유자시설 중 노인복지주택 각 세대 간 경계벽 6. 노유자시설 중 노인요양시설의 호실 간 경계벽 세부 기준 1. 경계벽은 내화구조로 하고, 지붕밑 또는 바로 위층의 바닥판까지 닿게 설치 2. 소리를 차단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