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재건축 등의 정비사업에서는
그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비용.
바로 수입과 지출에 대한 부분이 그 사업을
좌우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정비사업과 관련된
사업비의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비례율
비례율은
조합의 종전자산 투자 대비 사업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료로서
'개발이익률'이라고도 합니다.
총 수입
사업완료 후의 대지 및 건축물의 총분양수입
= 조합원 및 일반 분양 수입 + 임대주택매각금
총사업비(지출)
공사비(약 70%) + 국공유지 매입비 + 현금청산비 + 이주비 + 조합운영비 + 인허가비용 + 기타용역비
종전자산 평가총액
분양신텅조합원들의 종전자산 평가액의 합계
비례율과 감정평가액과의 관계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할 경우
종전자산 감정평가액주1)이 높아지면
비례율은 낮아지게 되며,
종전자산 감정평가액이 낮아지면
비례율은 높아지게 됩니다.
투자원가가 낮으면 수익률이 높아지고
투자원가가 높으면 수익률이 낮아지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종전자산 평가액과 비례율은 반비례하는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권리가액
분양신청 조합원이 출연한 종전자산의 가격에
정비사업 시행으로 분배되는 개발이익(또는 손실)이
적용된 조합원의 권리가격
을 말합니다.
3. #분담금
분담금은
분양예정자산 추산액(조합원 분양가) - 권리가액
을 말하며
'조합원이 출자한 종전자산 가치를 인정받고
새로 분양받을 아파트 내지 상가의 자산을 평가하여
그 차액으로 지불해야하는 대금 '
을 말합니다.
종전자산평가과 권리가액. 부담금과의 관계
종전자산평가는
비례율과 반비례
종전자산평가액이 달라져도
권리가액, 부담금에 변화는 없다
이상의 내용은 2019 부산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 이해
를 참조하였습니다.
'건축 관련 정보 > 도시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땅의 귄리는 어디까지? (0) | 2023.02.13 |
---|---|
필지, 획지, 대지, 부지 (0) | 2023.02.12 |
서울시 역세권 사업 <건축계획기준> 비교_역세권활성화사업, 역세권복합개발, 역세권청년주택, 역세권장기전세 (0) | 2023.02.06 |
서울시 역세권 사업 <용적률, 공공기여> 비교_역세권활성화사업, 역세권복합개발, 역세권청년주택, 역세권장기전세 (0) | 2023.02.05 |
서울시 역세권 사업 <용도지역변경> 비교_역세권활성화사업, 역세권복합개발, 역세권청년주택, 역세권장기전세 (0) | 2023.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