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은 공용홀을 통해
해당 호라인의 엘리베이터를 타고
세대로 출입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공용홀을 로비층이라고 칭하며,
엘리베이터 버튼도 로비층을 뜻하는
' L '로 표기됩니다.
그리고 보통은 그 로비층이 지상1층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가끔 지상1층이 로비층이 아닌
지하1층이 ' L '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왜 그럴까요?
보통 이런 공동주택은 경사지에 건립된
아파트일 것입니다.
이런 경사지는 지하주차장과 공동주택의 레벨계획을
기존 지형 및 주변 지형과 어울어지도록 계획을 합니다.
그리고 지하주차장을 계획할 때
건축법에서 요구하는 지하층의 구성 요건을 감안해
건축하다 보니
지하주차장이 지상부로 돌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용어로 찾는 건축법_지하층 정의 (tistory.com)
용어로 찾는 건축법_지하층 정의
#지하층_정의 건축물의 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층으로서 바닥에서 지표면까지 평균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2분의 1 이상인 것 #지하층_질의회신 어느 한 층의 둘레가 지표면에 접하지 아니하
notsunmoon.tistory.com
위의 그림처럼 지하 2개층의 주차장이 설치되는
아파트의 경우 좌측 레벨이 우측 레벨보다 낮아
지하1층 주차장의 영역이 외부에 노출이 되며
자연스럽그 그 진입이 지하1층으로 출입하게 되는 것입니다.
728x90
'건축 관련 정보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수조 및 소화펌프실은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 되어야 합니다. (1) | 2024.04.26 |
---|---|
고시원(다중생활시설)의 각 방에 샤워부스를 설치할 수 있는 이유는? (1) | 2024.04.25 |
공동주택의 공용면적 산정 방법은? (0) | 2024.04.11 |
휴즈블링크 타입 도어클로저 사용 금지 조치 (0) | 2024.03.15 |
아파트에서도 제세동기 설치가 의무입니다. (0) | 202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