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대중교통 인프라가 집중된 역세권을 고밀·복합 개발해
직장과 주거지가 가까운 ‘콤팩트시티 (Compact City)’를
조성하는 서울시의 새로운 도시개발 전략 수립를 위해
역세권을 중심으로 주요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추진 현황
서울시, 역세권 고밀개발 유도해 고품질 '장기전세주택' 공급 확대('22.06.)
정부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건립 운영기준」 개정‧시행…공급 활성화로 주택시장 안정화 도모
준주거지역 용적률 최대 700%까지 완화, 일률적 35층 규제 폐지로 공급물량 확대
고밀개발 가능 역세권 범위 완화(250m→350m) 기간연장, 주거지역 한정→대상지 확대
법적범위 내에서 합리적 조정…주택공급 확대 위해 현실에 맞게 제도 개선
서울시, 콤팩트 시티 조성을 위한 '역세권 활성화사업' 확대('22.06.)
「역세권 활성화사업 운영기준」 개정('22.06.30)으로 대상지 요건 완화
상업지역 물량 사용 유연화로 역세권활성화사업 대상지 확대
자치구와 협의를 통해 영유아·아동·청소년 보육시설 등 지역필요시설 우선적 확충 유도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에 속도 낸다…3분기 대상지 공모('22.09.)
자치구에 주민 등 대상 상시접수 – 서울시, 9월 16일까지 자치구를 통해 접수
하반기 선정위원회 개최하여 10개소 내외 선정 예정
'22년 6월 역세권 활성화사업 운영기준 개정으로 대상지 요건 완화
주택 포함 공공임대시설 확대 – 지역필요시설 등 공공기여시설 확충 추진
서울시 균형발전 5개년 계획 발표, 지역격차 해소를 위한 발판 마련('22.12.)
역세권 중심의 도시공간구조 개편을 통해 상업·업무, 주거, 생활SOC 등 다양한 필요시설 확충
불균형 해소를 통해 소외된 지역에 활력 제고, 지속가능한 도시 성장동력 창출
사업별 주요 내용
출처: 서울시 역세권 설명자료
'건축 관련 정보 > 도시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역세권 사업 <사업추진절차> 비교_역세권활성화사업, 역세권복합개발, 역세권청년주택, 역세권장기전세 (0) | 2023.02.03 |
---|---|
서울시 역세권 사업 <사업대상지 요건> 비교_역세권활성화사업, 역세권복합개발, 역세권청년주택, 역세권장기전세 (0) | 2023.02.02 |
도시공원 녹지 확보 대상 개발계획 및 규모는? (0) | 2022.11.27 |
도시계획이 필요한 이유 (0) | 2022.11.17 |
소규모주택정비사업 비교 (0) | 202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