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택지(남양주, 하남, 인천, 과천) 5곳 지구 지정 발표

건축 관련 정보/법령 해석

대규모 택지(남양주, 하남, 인천, 과천) 5곳 지구 지정 발표

notsun 2019. 10. 14. 21:56

작년 '수도권 30만 호 공급계획' 중 12월 19일 주거안정화 대책의 일환으로 신도시 계획 발표가 있었는데 올해 10월 15일 공공주택지구를 지정 고시한다고 밝혔습니다.

금번 30만호 추진과 함께 이전에 추진되어오던 공공택지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입지가 좋은 곳에 무주택 서민 부담이 가능한 주택을 공급하여 주택시장 안정 도모와 공공임대 공급으로 서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겠다는 것입니다.

 

<추진 경위>

- 국방부, 농림부 등 관계기관 사전협의 및 주민 공람('18.12~ '19.01)

- 개발컨셉 수립을 위한 UCP(Urban Concept Planner)운영('18.12~ '19.07)

- 주민설명회('19.05), 공청회 2회('19.06~'19.07), 주민 협의체 운영('19.07)

-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부 협의('19.08~09),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19.09)

 

<향후 계획>

- '20년 하반기 지구계획 승인

- '21년 공사착공

- '21년 말 '첫 마을 시범사업' 주택공급 시작

 

<공급 규모>

- 전체 택지 면적: 2,273만 ㎡ (여의도의 8배 규모), 12만 2천 호 공급

구분

남양주 왕숙ㆍ왕숙 2

하남 교산

인천 계양

과천 과천

면적

1,134

649

335

155

호수

6만 6천 호

3만 2천 호

1만 7천 호

7천 호

1> 남양주 왕숙. 왕숙 2

- 위치: 남양주시 진접읍, 진건읍 일원(왕숙)

         남양주시 일패동, 이패동 일원(왕숙 2)

- 면적: 11,337천 ㎡(왕숙:8,890㎡, 왕숙 2: 2,447천㎡)

- 호수: 왕숙(53천 호) + 왕숙 2(13천 호) = 66천 호

출처:국토교통부

- 왕숙 지구

경제중심도시 조성 위해 GTX-B 노선 중심 도시첨단산단, 창업지원센터 등 자족. 업무용지 복합 개발

→ 왕숙천과 녹지축을 중심으로 자연친화형 주택단지 조성

자족. 업무용지와 주택단지는 S-BRT 등 대중교통과 퍼스널 모빌리티 등 신교통 수단 연계

왕숙 지구 조감도(출처:국토교통부)

- 왕숙 2 지구

문화중심도시로 경의 중앙선 역 중심 공연장 등 복합 문화 시설 집중 배치

홍릉천, 일패천 등을 중심으로 수변문화공간 조성

지구 남측 자족기능과 연계된 첨단 복합물류단지 조성

왕숙2 지구 조감도(출처:국토교통부)

2> 하남 교산

- 위치: 하남시 천현동, 춘궁동, 교산동 일원

- 면적: 6,491천 ㎡

- 호수: 32천 호

출처:국토교통부

- 지하철 3호선 신설역을 중심으로 배산임수형 주거단지 조성

중심지 오픈 스페이스 확보로 바람길 확보

덕풍천에서 금암산 등 조망이 가능한 밸리형 주택단지 계획

- 기존 문화역사 단지와 신규 조성되는 역사문화박물관, 한옥 특화단지 등 연계 역사문화테마파크 조성

- 하남 스마트 밸리 조성

 중부고속도로 이용이 편리한 지구 북측 자족. 업무용지 집중 배치

창업 생태계(첨단산업 유치 및 스타트업 등) 조성과 일자리&즐길거리&주거 복합단지

하남 교산지구 조감도(출처:국토교통부)

3> 인천 계양

- 위치: 인천시 계양구 귤현동 등 일원

- 면적: 3,349천 ㎡

- 호수: 17천 호

출처:국토교통부

- 노후 제조업 중심의 지역산업구조 재생을 위한 첨단산업 일자리 유치

- 신 경인 산업축(송도~남동. 부평~계양~마곡)의 거점도시 조성 계획

- 지구 북측에 자족용지 집중 배치, 면적의 2/3 정도를 도시첨단산단으로 지정 계획

- 남측 하천과 공원. 녹지축을 중심으로 주거단지 조성 및 복합커뮤니티 시설 건설. 운영

- S-BRT 두 개 노선 건설

→ 북측 노선: 박촌역 ~ 일자리. 자족 단지 ~ 김포공항역 연결

→ 남측노선: 박촌역  ~ 주거단지 ~ 부천종합운동장역 연결

출처:국토교통부

 

3> 과천

- 위치: 과천시 과천동, 주암동 등 일원

- 면적: 1,555천 ㎡

- 호수: 7.1천 호

출처:국토교통부

- 선바위역 및 양재천, 막계천변 수변공간을 활용한 주거단지 배치

- 경마공원 역을 중심으로 상업, 문화, MICE 복합단지 등 자족 및 주민편익시설 조성

- 화훼 종사자 재정착 지원을 위한 화훼복합유통센터 건설 계획

출처:국토교통부

<택지 조성방안>

- 공원. 녹지로 확보한 친환경 도시(전체 면적의 1/3)

→ 공원.녹지 비율 상향( 20% ▷ 30%)

→ 환경부와 MOU 체결에 따라 저영향 개발기법(LID, 자연 상태의 물 순환체계 최대한 보존) 적용 등

 

 

- 자족용지로 조성하는 일자리 도시(가처분 면적의 1/3)

→ 서울 일자리 기능 분산 수용

바이오헬스, AI 등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공간 활용: 가용면적의 20~40% 자족용지 확보

기업유치를 위한 일부 면적 도시첨단산단으로 지정: 취득세 50%, 재산세 35% 감면 조성원가 토지 공급

신 성장동력 산업 도입, 앵커기업 유치 전략 수립 등 신도시 특화 방안 연구 진행 중

 

- 교통이 편리한 도시

→ 사업비의 20%를 교통에 투자 원치

입지 발표 시 수립한 교통대책 이외 지방자치단체 건의 등을 반영한 추가 교통대책 수립 중

연내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 협의 거쳐 발표

 

- 지역 실정을 잘 아는 지방자치단체(지방공사)가 참여

LH와 함께 경기. 인천 도시공사, 기초지방자치단체, 지방공사가 사업시행자로 참여

경기도는 도시첨단산단 중복지정, 기업유치, 주민 재정착 지원 등 행정 지원 참여

남양주 왕숙 (LH, 경기도), 하남 교사(LH, 경기도, 경기도시공사, 하남도시공사), 인천 계양(LH, 인천 도시공사), 과천 과천(LH, 경기도, 과천시, 경기도시공사)

 

- 전문가 참여형

→ 지구지정 초기 단계부터 도시. 건축. 교통. 환경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UCP가 30여 회 운영 토지이용 구상 마련

도시건축, 교통, 스마트시티, 일자리 등 6개 분과(52명) 구성 '도시 포럼' 운영

국가건축정책위원회와 협력하여 도시건축 통합 설계 기법 적용

 

- 원주민과 소통

신규택지 발표 후 원주민. 기업 단체. 화훼농민 등과 총 80여 회 간담회 실시

과천 등은 민. 관. 공 합동 협의체 운영 중

수렴된 주민 의견을 바탕으로 '원주민 재정착을 위한 맞춤형 지원방안' 마련 계획 예정

 

<수도권 30만 호 계획>

- 총 14만 호 지구지정 완료

→ 기존 6곳 1.8만 호 이미 지구지정 완료, '20년 지구계획, 보상 등을 거쳐 '21년 주택공급 시작

:성남 신촌(0.7천 호), 의왕 청계 2(2.3천 호), 시흥 하중(3.5천 호), 인천 검암역세권(7.4천 호), 안양 인덕원(0.8천 호)

금번 5곳 12만 2천 호

부천 역곡(5.5천 호), 성남 낙생(3천 호), 안양 매곡(9백 호) 등 3곳 1만 호는 연내 지구지정 완료 목표로 진행 중

 

- 3차 발표('19.6)한 고양 창릉, 부천 대장 등 11만 호

→ 재해영향성 검토 등의 절차 진행 중

주민 공청회,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20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지구지정 예정

 

- 서울 약 4만 호 공급 예정

서울시 32.4천 호, LH 7.1천 호 공급 예정

'20년 동작역 청년 타운 등 착공 예정

'21년 성동구치소 등이 착공 예정

나머지 '22년까지 착공 예정

 

<수도권 30만 호 공급계획 발표 전 사업>

- 수서역세권, 서초성뒤, 위례신도시, 과천 지식정보타운, 성남 복정 등 서울 및 투기과열지구에 2.9만 호 공급

내년부터 입주자 모집하는 등 속도감 있게 추진 예정

→ 20년 공급 예정지(단위 천호): 수서역세권(2.1), 양원(1.2), 과천 지식정보타운(2), 성남 복정(1.7), 성남 금토(1.8), 성남 위례(1.7), 하남감일(1.4)

21년 공급 예정지:(단위 천호): 서초성뒤(0.9), 양원(0.5), 과천 지식정보타운(4), 과천 주암 지구(5), 성남 복정(3), 성남 금토(1.6), 성남 위례(1.6)

 

191014(조간)남양주 하남 인천 과천 대규모 택지 5곳 지구지정(공공택지기획과_최종본).zip
9.64MB

 

 

 

728x90

'건축 관련 정보 > 법령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숙사형 청년주택  (0) 2019.10.19
<용도> 다중주택_2021.6.16 개정 이전  (0) 2019.10.16
<용어>최저주거기준  (0) 2019.10.13
도시재생뉴딜사업  (0) 2019.10.10
<용도> 생활숙박시설  (3) 2019.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