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6년 최초의 수세식 변기가 만들어진 이후 계속 발전해
이제는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습니다.
이런 수세식 변기가 없던 시절에는 어떻게
볼일을 보고 그 오물을 처리했을까요?
구약성경 신명기에서는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데
당시 유대인은 유목생활을 할 때라고 합니다.
신명기 23장 12절부터 시작되는 내용에서
"
너의 진 밖에 변소를 베풀고 그리로 나가되
너의 기구에 작은 삽을 더하여 밖에 나가서 대변을
통할 때에 그것으로 당을 팔 것이요
몸을 돌이켜 그 배설물을 덮을지니
"
와 같이 볼 일을 보고 그냥 덮는 수준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수준은 유목민처럼 정착지를 자주 옮기거나
인구가 적을 때나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결국 인구가 늘어나자 고대인은 다른 방법을 고안합니다.
가장 오래된 화장실은
스코틀랜드 오크니제도에 있는 신석기시대 유적입니다.
이 곳에는 벽을 파놓은 공간과 그 아래 배수구 형태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지만 추측일 뿐입니다.
그럼 더 확실한 화장실 유적은 없을까요?
고대 문명
인더스 문명에서 가장 번성했던 도시 '모헨조다로'는
기원전 2,600년경 건설되었습니다.
벽을 파서 욕실과 화장실을 설치하고
벽돌을 쌓아 나무를 얹고 좌변기를 설치하고
상수도에서 물을 가져와 오물을 씻어내 하수도로
배출했다고 합니다.
이밖에도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미노스문명의 크노소스 궁전에서도 오물을
물로 씻어냈다고 합니다.
이처럼 고대에도 화장실에 상하수도시설을 적극적으로
도입했지만 도시 일부분에서만 사용되었고
대부분의 대도시 이외의 지역에서는
'요강'을 사용했습니다.
고대 로마제국
로마 제국에서도 상하수도를 적극 활용했는데
로마시 뿐만 아니라 로마 전역에 공중화장실이
존재했습니다.
이 공중화장실은 나라에서 운영해 사용료를 냈으며
한 공간에 변기가 여래개 놓여 서로 몸이 닿을 정도로
비좁은 시설이었습니다.
당시 세탁시설 등에서 암모니아 대신 사람의 소변을
이용했기 때문에 공중화장실에 용기를 두고
소변을 받아 사용해 거리에 악취가 풍기기도
했습니다.
또한 빈민가의 공동주택에서는 상하수도 시설이 없어
집집마다 사용한 요강을 1층의 공동장소에
모으고 나중에 비료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고층에 사는 사람들은 이것도 귀찮아서
분뇨를 창밖으로 던져버리기도 해서
길거리에 쌓이기까지 했습니다.
중세시대
오히려 상하수도를 이용한 화장실 문화가
쇠퇴합니다.
그나마 수세식 화장실이 수도원에 남아있었지만
대부분이 이런 시설을 이용하기 어려웠습니다.
중세 후기 부터는 집에 나무로 만든 요강을 두어
사용하고, 16세기가 넘어서야 진흙을 구워 만든 요강을
사용했습니다.
16세기 이후 주택에서는 돌출 발코니늘 이용한
화장실이 만들어졌습니다.
원래 중세 성에서 많이 사용되던 방식인데
아래로 떨어지거나 '해자'로 모여들게 되었습니다.
도시 가옥에서는 아래에 분뇨 구덩이를 만들기도 했고
그냥 길에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이것 조차 없는 경우 뒷마당 가축 우리에
용변보았고 그래서 뒷마당으로 창문이 없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위생에 대한 개념이 싹트기 시작한 것은
흑사병 창궐 이후였습니다.
흑사병 이후 도시에서는 하수구 청소 칙령까지 내려졌고
나중에는 하수구를 청소하는 직업까지 생겼다고 합니다.
근대
근대 도시들도 중세와 크게 다르지는 않았습니다.
가득찬 요강을 창문 밖으로 배출하고
베르사유 궁전의 경우도 수세식 화장실은 없었고
대신 300개의 요강이 성 곳곳에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요강의 내용물도 성 이곳 저곳에
버려졌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현대적 화장실은 언제 생겼을까요?
1582년 영국 런던 인구가 늘자 식수난에 빠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하수도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1596년 존 해링턴이
수세식 변기를 발명했습니다.
물탱크와 잠금 밸브가 달린 것을 출발로
1755년 시계공 알렉산더 커밍은
구부러진 파이프를 이용해 하수구의 냄새를
막는 구조도 도입되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의 화장실 역사는 어떨까요?
최초 수세식 화장실은 신라시대로 올라갑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직후 문무왕 14년(674년)에 세워진 동궁
유적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1908년 서울에도 근대적인 상하수도가
들어오게 되면서 위생시설이
도입되기 시작했습니다.
위의 내용 및 첨부 이미지는 아래 영상을 참조하여 만들었습니다.
'배움의 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치질'의 역사_ 인간은 어떻게 양치질을 해 왔을까? (0) | 2020.07.20 |
---|---|
<최진석의 장자철학> 14-6강 사랑은 눈물의 씨앗 (0) | 2020.07.15 |
<최진석의 장자철학> 14-5강 중국 철학사 중요 개념 (0) | 2020.07.07 |
세계사.전쟁사_몽골제국의 정복전쟁 (러시아, 유럽, 이슬람 정복) (0) | 2020.06.14 |
세계사.전쟁사_ 몽골전쟁사 1(칭기즈칸의 정복전쟁) (0) | 2020.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