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서울시, 중심지형 도시재생지역 확대

건축 관련 정보/도시분야

<정보>서울시, 중심지형 도시재생지역 확대

notsun 2019. 11. 27. 01:16

" 북촌 가회동 일대, 효창공원 일대 등 총 6개 지역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선정 "

 

- 17년 2월 이후 3년여 만에 신규로 6곳을 선정

- 산업, 상업, 역사 '중심지형' 도시재생 개발

- 지난 4월 후보지 선정 이후, 5~7월 핵심사업 발굴 및 8~10월 소규모 재생사업 추진을 통해 거버넌스 강화

- 20년 부터 5년간 마중물 사업비 1,200억 투입 예정

- 다양한 협력 사업 연계 시 총 3,277억 투입 예정

- 정부 뉴딜사업 신청자격 부여

- 뉴딜사업 선정 시 지역당 150억 국비 추가 확보 가능

 

그럼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 무엇인지 먼저 공부해보겠습니다.

 

 

 


"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란 "

 

- <도시재생특별법>에 의거 도시재생사업을 추진

- 주요 목적과 성격에 따라 '도시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으로 구분

- 저이용. 저개발 중심지역, 쇠퇴. 낙후 산업(상업) 지역, 역사문화자원 특화지역, 노후 주거지역 구분되는 서울형 도시재생 유형과 관계 설정

 

출처: 서울도시재생포털


" 도시재생 유형별 특성 비교 "

출처: 서울도시재생포털


"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도모델 13개소 "

 

출처:서울도시재생포털

 

 

 

" 중심지형 도시재생지역은 20개소 "

 

- 이번 6개 지역 추가에 따라 '중심지형 도시재생지역은 기존 14개에서 20개소로 늘어남

- 서울시내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총 47개로 확대

→ 지난 6월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 확정 공고'를 통해 37개 지역 지정

→ 이후 '19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를 통한 '홍릉일대'(경제기반형 국가 선도지역), 목3동(일반 근린형 국가선도지역) 선정

→ 지난 11월 서울시 자체 일반근린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개소

→ 이번 중심시가지형 6개소까지 총 47개

출처: 서울시

 


"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지역 신규 선정 지역 "

 

1. 북촌 가회동 일대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역사문화특화)

- 위치: 서울시 종로구 가회동, 삼청동 일대

- 면적: 273,867㎡

- 높은 브랜드 가치로 평가받는 한옥 밀집지역

- 최근 대두되고 있는 '오버투어리즘'에 따른 주민의 정주 환경 및 일상권 침해 문제 해결

- 한옥 콘텐츠만으로는 자생적 성장기반 한계가 있어 '한옥의 정주환경과 역사문화 자원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출처: 서울시


2. 효창공원 일대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역사문화특화)

- 위치: 서울시 용산구 효창동 일대

- 면적: 203,377㎡

- 김구 선생과 윤봉길. 이봉창 의사 등 7인의 독립운동가가 잠들어 잇는 역사성 바탕으로 지역 재생

-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와 역사적 특성을 잘 나타낸 독립마켓축제, 교육 등을 통해 정체성 강화

- 역사 콘텐츠 활용하여 지역주민이 지속 참여하는 도시재생사업 추진

출처: 서울시


3. 구의역 일대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도심 상업 육성)

- 위치: 서울시 광진구 구의동 252-44일대

- 면적: 180,000㎡

- 동부지법.지검 이전에 따른 지역상권 급격 쇠퇴 지역

- 5G, 첨단산업의 테스트베드 조성을 통한 '스타트업 링크'로 창업 생태계 구축

- 지역상권(미가로) 체질개선 및 주거환경개선 등 도심상권 활성화를 목표로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추진

출처: 서울시


 

 

 

4. 면목패션(봉제)특정개발진흥지구 일대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도심산업육성)

- 위치: 서울시 중랑구 면목동, 상봉동 일대

- 면적: 292,000㎡

- 서울시 전체 봉제업의 11% 밀집되어 있는 중랑구에 위치

- 16년 면목 패션(봉제)특정개발진흥지구로 지정했으나 활성화 이루어지지 못함.

- 패션봉제 산업 클러스터 조성 및 패션봉제 특화 가로 조성 등을 통해 패션봉제허브 성장

- 낙후된 주거생활환경 개선

 

출처: 서울시


5. 홍제역 일대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지역거점육성)

- 위치: 서울시 홍제동 일대

- 면적: 170,000㎡

- 서울 도심과 서북권을 잇는 통일로의 중심

- 서북권 중심 거점으로서의 위상 회복 목표

- 지역자산인 '유진상가'를 리모델링하여 지역에 부족한 거점공간 확보

- 서대문구 자체사업인 지하보행네트워크 조성사업과 연계한 특화공간 조성 예정

출처: 서울시


6. 풍납동 토성 일대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역사문화특화)

- 위치: 서울시 송파구 풍납동 일대

- 면적: 258,372㎡

- 풍납동 토성의 상징성과 역사적 정체성 강조

- 백제한성기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재와 주민 상생 역사문화관광 체험마을 조성 목표

출처: 서울시


 

728x90